YG PLUS의 주가 및 실적, 주식배당금에 대하여

회사소개 YG플러스는 음악플랫폼 운영대행 및 음원과 음반 투자유통, MD제조 및 유통판매, 광고대행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종속회사를 통해 금융투자사업도 함께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과 서비스별 매출 비중을 살펴보면 음악서비스 부문이 68%, 제품 및 상품 부문이 19%, 용역 매출이 13% 정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주요주주 및 지분율 YG플러스 주요주주와 지분율을 살펴보면 와이지엔터테인먼트 외 1명이 33.72%, 비엔엑스 외 1명이 17.0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YG PLUS실적, 그동안의 YG PLUS실적을 살펴보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매출이 936억원에서 1,136억원, 1,071억원으로 등락을 반복하는 모습을 보였고 2021년에는 1,543억원으로 증가했습니다.이 기간 영업 이익은 17억원에서 33억원, 14억원으로 등락을 반복, 2021년에는 39억원으로 증가했습니다.영업 이익률 역시 실적의 흐름에 맞추어 2018년 1.86%에서 2019년 2.91%, 2020년 1.29%로 등락을 거듭하고 있었지만, 2021년 2.50%로 증가했습니다.실적에서 주목할 부분은 2018년의 신규 사업 매출 발생 및 주요 종속 회사의 매출 성장, 화장품 사업의 수익성 개선 및 골프 사업 이익 증가, 2019년 음악 사업 등 주력 사업의 성장에 따른 매출 증가, 중단 영업 손실 등 반영의 당기 순손실 증가, 2020년 음악 사업 등 주력 사업의 성장 및 투자 이익 증대에 따른 영업 이익 증가, 중단 영업 손실(화장품)등 반영의 당기 순손실 증가, 2021년 주력 사업 성장 및 투자 수익 증대에 따른 매출과 이익 증가 등이 있으니 투자 시에는 참고 하세요.

수익성 YG플러스의 자산활용도를 보여주는 지표인 자산수익률, 즉 ROA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1.01%에서 -2.80%, -4.86%로 둔화되는 모습을 보였으며 2021년에는 12.09%로 개선되었습니다. 같은 기간 이익창출 능력을 나타내는 자기자본이익률, 즉 ROE는 -0.15%에서 -3.48%, -6.94%로 둔화되다가 2021년에는 19.57%로 개선됐습니다.

재무상태표 YG플러스 재무상태표를 보면 자산총액은 2018년부터 2020년까지 1,567억원, 1,510억원, 2,231억원으로 등락을 거듭하다가 2021년에는 1,468억원으로 증가했습니다. 같은 기간 부채총액은 449억원에서 468억원, 774억원으로 증가했고 2021년에도 313억원으로 증가세가 이어졌습니다. 자본총계는 118억원, 1041억원, 1,457억원으로 감소했고 2021년에는 1,155억원으로 증가했습니다.

안전성이니까 안전성을 살펴봅시다. 2022년 3분기 기준 YG플러스 유동비율은 200.8%로 단기채무에 대한 지급능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부채비율도 60.3%로 타인의 자본에 의존하지 않고 자기자본을 잘 활용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이자보상배율도 19.6배이고 이자지급능력도 확보하고 있어 당장 재무리스크가 부각될 가능성은 낮다고 봅니다.

현금흐름표이기 때문에 YG PLUS 현금흐름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 3분기 기준 YG플러스 영업활동 현금흐름은 221억원이며 투자활동 현금흐름은 -30억원, 재무활동 현금흐름은 65억원으로 양호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FCFF 잉여현금흐름이므로 기업이 공장이나 기계설비 등에 투자한 비용을 제외한 실질취득현금을 나타내는 FCFF에 대해 소개합니다. 잉여현금흐름은 세후 영업이익과 유무형자산상각비를 합한 총현금흐름에서 투하자본 증가분 및 유형자산상각비 총액을 합한 총투자금액을 차감하여 구할 수 있는데 2022년 3분기 기준 YG플러스 세후 영업이익은 27억원이고 유형자산상각비는 20억원입니다. 따라서 총 현금 흐름은 48억원이며, 총 투자로 -227억원을 지출했습니다. 따라서 FCFF, 즉 잉여현금흐름은 275억원이 됩니다.배당금과 주당 순이익에 이어 YG플러스 배당금을 살펴보겠습니다. YG PLUS는 별도의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으니 투자 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주당순이익은 2018년부터 2020년까지 -2원에서 -55원, -106원으로 꾸준히 악화되는 모습을 보여 2021년에는 347원으로 개선되었습니다.YG PLUS 주가 흐름이기 때문에 YG PLUS의 주가 흐름을 살펴보겠습니다. YG플러스 주식은 2015년 5월 6,480원으로 고점을 형성한 이후 꾸준히 하락하고 있습니다. 이후 2020년 3월 코로나 국면에서는 YG플러스 주가가 660원까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후 반등에 성공한 YG플러스 주식은 2021년 11월 10,950원으로 고점을 찍으며 하락 전환했으며 현재 YG플러스 주가는 5,37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핵심 포인트 YG PLUS는 2월 22일 2022년 결산 잠정 실적을 발표했습니다.매출액은 전년 대비+16.6% 늘어난 1,402억원, 영업 이익은-53.1%감소의 103억원이었습니다.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영업 이익이 감소한 것은 매출 원가 또는 판매비와 관리비가 증가했기 때문이지만, YG PLUS는 이에 대해서 음악 사업 등 주력 사업의 성장 효과로 매출이 증가했지만 평가 손실 발생 등 금융 시장의 침체에 따른 이익이 감소했다고 하더군요.YG PLUS는 2020년부터 종속 회사를 정리하는 수익 구조를 개선하고 음악 인프라 기반을 확대하고 왔습니다.또 엔터테인먼트 관련 사업, 특히 음악, IP콘텐츠 등에 대한 사업 확장과 새로운 사업을 추진하면서 성장 모멘텀을 만들고 있어 YG PLUS에 관심이 있다면 수익 구조 및 실적 증가세를 모니터링하면서 매매할지를 결정하는 것이 좋겠습니다.안내 사항 모든 투자 결정과 이에 대한 결과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임을 알리는, 인수, 매각 추천이 아님을 알립니다.핵심 포인트 YG플러스는 지난 2월 22일 2022년 결산 잠정 실적을 발표했습니다. 매출액은 전년대비 +16.6% 증가한 1,402억원, 영업이익은 -53.1% 감소한 103억원이었습니다. 매출 증가에도 불구하고 영업이익이 감소한 것은 매출원가 또는 판매비와 관리비가 증가했기 때문인데 YG플러스는 이에 음악사업 등 주력사업의 성장효과로 매출이 증가했지만 평가손실 발생 등 금융시장 침체로 인한 이익이 감소했다고 밝혔습니다. YG플러스는 2020년부터 종속회사를 정리하고 수익구조를 개선하는 한편 음악 인프라 기반을 확대해 왔습니다. 또한 엔터테인먼트 관련 사업, 특히 음악, IP, 콘텐츠 등으로의 사업 확장과 신사업을 추진하면서 성장 모멘텀을 만들고 있기 때문에 YG플러스에 관심 있으신 분들은 수익구조 및 실적 증가세를 모니터링하면서 매매 여부를 결정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안내사항 모든 투자 결정과 이에 대한 결과의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을 알려드리며 매수, 매각 추천이 아님을 알려드립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ZZzp5Z2etTk&pp=ygU6WUcgUExVU-ydmCDso7zqsIAg67CPIOyLpOyggSwg7KO87Iud67Cw64u56riI7JeQIOuMgO2VmOyXrA%3D%3D

error: Content is protected !!